내원사 환종주
※ 9/12(토) 용연교(08:10) - 518봉(08:20) - 산불감시(10:12) - 정족산(10:35) - 낙남지맥분기(11:00) - 주남고개(11:40) - 811봉(12:45) - 천성산2봉(13:~13:50) - 은수고개(14:10) - 천성산1봉(14:25) - 화엄늪(14:40) - 용주사갈림길(15:30) - 철탑(16:05) - 용연 대인사(16:40) 총산행거리 : 23.8KM (중식1시간포함 8H30") 산행인원 : 산친구 3명
산행요점 : 내원사 환종주는 양산의 내원사를 중심으로 의성암,금봉암,노전암,대성암,안적암,금강암,성불암, 원효암등 수많은 암자를 거느린 천성산의 도룡용을 살려 주세요라는 기치를 내걸고 오랫동안 국가적인 사업을 지연시킨 지율스님으로 인해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정족산 무제치늪과 천성산 화엄늪의 생태환경을 찾아간다
|
▲ 양산국도에서 내원사의 진입구 고속도로 관통 용연교를 실질적인 들머리다 ▲ 첫등로를 오르면서 아마 7~8년전 오름길은 찾아볼수없이 깨끗하게 정리되었다 ▲ 한참을 오르면서 조망터에서 뒤돌아본 지나온길 ▲ 좌측으로 양산통도사쪽의 영축산 능선이 펼쳐진다 |
▲ 앞능선 좌측이 천성산 공룡능선 ▲ 첫번째 철탑 ▲ 두번째 철탑을 하늘높이 바라본다 |
▲ 이렇게 임도를 사이에 두고 들락 날락 거리면서 산행을 한다 |
▲ 셋째 철탑에서는 제법 정족산 능선이 다가온다 ▲ 넷째 철탑을 지나고.. ▲ 지나온길의 철탑들이 펼쳐진다 ▲ 이제 공룡능선이 확연히 조망된다 |
▲ 양산 통도사쪽을 조망하면서 하단부는 솥밭산 공원묘지다 ▲ 여기도 무인감시를 한다...산불 ▲ 또 임도를 걷는다 |
▲ 정족산 [鼎足山] 가지산도립공원에 속한다 |
▲ 오늘가야할 저곳. 천성산(812m)과 원효산(922m)으로 이어지는 남쪽 끝머리 능선길은 주능선과 지능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여기를 조망하면 어떨지..... ▲ 우측 주남고개뒤로 서창읍뒤로 대운산과 달음산까지 한눈에 펼쳐진다 ▲정족산 정상아래 무제치늪이다 6000년에서 1만년전에 생성된 18만4000㎡(5만6000평) 규모를 자랑하는 최고(最古)의 늪이다 무제치늪옆으로 울산 남암산-문수산까지 이어지는 남암지맥길이다 뒤로 우뚝 솟은 남암산/문수산 |
▲용바위 정족산의 명물 용바위.바위에 용의 입처럼 생긴 홈이.... 홈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졌다고는 믿기 힘들만큼 신기한 모양을 하고있다 ▲정족산에서 임도로 한참을 내려와 뒤돌아 아쉬운 눈맞춤을 또한다 ▲ 좌측은 남암지맥 분기점이고 우측이 오늘 가는 천성산 종주길이다 |
▲ 한참을 와서 또 뒤돌아본 정족산 ▲이제 공룡능선이 확연히 조망된다 좌측의 천성산2봉 오름길목 집북재까지 ▲천성산자락에는 암자가 수없이 많다 대략 20여개 |
▲주남고개의 임도상에 각종 이정표들... ▲ 임도를 버리고 본격적인 천성2봉 산길로 접어든다 |
▲ 임도길로 고도를 300M 오르는데 1시간쯤에 도착한 811봉 |
▲천성산2봉에서 지나온 정족산능선이 희미할뿐이다 ▲ 제2봉의 북서쪽 사면(하북면 용연리)에는 통도사(通度寺)의 말사(末寺)인 내원사(內院寺)가 있다. 천성산 기슭에 1300여년전 신라 선덕여왕 때 원효성사께서 창건하신 절이란다. ▲2봉에서 바라본 1봉 ▲2봉에서 동쪽으로 원적봉뒤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하늘릿지가 숨어있고 뒤로는서창읍 |
▲ 2봉에서 동쪽으로 대운산 능선 우측으로 달음산까지... |
▲은수고개를 지나 천성산1봉 오름길에 뒤돌아본 천성산2봉 ▲1봉에서 웅상읍 장흥저수지근처 KTX 선로 ▲1봉에서 바라본 군사지역으로 출입금지구역된 원효산정상 ▲몇년전에는 여기 정상석이 없었는데 1봉으로 덩그러니 놓여있는 정상석 |
▲천성산1봉에서 아쉬운마음에 울산까지 당겨서 담는다 ▲군사보호구역 철조망 ▲화엄벌에서 바라본 천성2봉 |
▲하산코스를 점검해본다 두번째 능선길 ▲화엄벌의 은빛억새가 아직 제철은 아닌듯...짙은가을에 다시 오면 은빛 억새 물결이 장관을 이룰것같다 ▲중앙좌측은 화엄늪은 습지가 발견돼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 보호구역으로 봄에는 철쭉이 군락을 이루고, 가을에는 억새가 은빛바다를 이룬다. ▲화엄벌 끝자락 돌탑에서 양산시가지 조망 |
▲원효대사가 1천명의 제자들을 모아놓고 화엄경을 설파했다는 설화가 전해지는 이곳은 화엄벌은 천성산의 명물이다 ▲기이한 소나무 |
▲용주사로 길을 잡다 출입금지 구역을 넘어 산길로 접어든다 ▲하산궤적을 읽으면서 이제 저기 철탑능선을 고정하면서 산길로 접어든다 여기 산길은 많은 산님들의 흔적이 별로 없어 혼동의 연속이다 ▲한켠에는 오색물결이 가을이 왔슴을 알린다 |
▲철탑밑으로 발걸음을 옮기면서 ▲원래 용연저수지로 날머리를 잡았는데 혼란스런 등로때문에 근처 대인사쪽으로 하산하면서 오늘 환종주 산행마무리. |